생활정보

2025년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 전국민대상 환급가능품목 환급신청방법 알아보기

씸스♡ 2025. 6. 23. 15:00
반응형

2025년 7월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고효율 가전제품을 구매할 경우 구매금액의 10%를 환급해 주는 제도를 시행합니다. 

구매시기, 지원대상 제품을 확인하지 않으면 환급을 못 받을 수도 있는데요. 지금부터 2025년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 환급가능품목 및 환급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산 소진 시 조기마감되니, 가전을 바꿀계획 있으시다면  지금 바로 확인하셔서 혜택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제품을 구매한 국민들에게 구매 금액의 10%를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 지원대상 및 환급기준

별도의 소득 조건이나 나이 제한 없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반드시 2025년 7월 이후 구매한 제품이어야 환급이 가능합니다.

  • 지원대상 : 전 국민대상
  • 환급률 : 구매금액의 10%
  • 최대환급액 : 1인당 최대 30만 원(신혼부부는 최대 60만 원)
  • 시작시기 : 2025년 7월부터~
  • 진행방법 : 선착순(예산소진 시 종료)

 

고효율 가전제품환급제도(최대환급금액)

 

| 환급 가능한 가전제품 목록

환급 대상 품목은 총 11종이며, 제품별로 지원 가능한 등급이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 후 구매해야 한답니다.

  • 에어컨 (스탠드형만)
  • 진공청소기 (유선형만)
  • 세탁기 (드럼형 제외)
  • 냉장고, 김치냉장고, 정수기, 전기밥솥, 의류건조기, TV 등

 

단순히 1등급이라고 다 되는 게 아닙니다! 구매 전  반드시 인증된 환급 대상 모델인지 확인하세요~

 

고효율가전제품 환급제도

 

 

신청방법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 환금신청방법은 정부가 별도로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는데요. 정확한 신청방법은 제도시행 전 발표될 예정이니 일정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공식 가전환급 페이지 바로가기

 

 

[제출서류]

  • 구매 영수증 (제품명, 모델명, 구매일자 포함)
  • 에너지 효율 등급 확인서
  • 신분증 사본
  • 신혼부부: 가족관계증명서 추가 제출

 

7월 이전에 구매한 제품은 대상 제외되니 구매 타이밍 조정은 필수!!! 온라인 구매도 가능하지만, 영수증 및 에너지 등급 확인서가 명확히 구비해야 한답니다.

 

주의사항 및 꿀팁

가전제품 환급제도는 선착순 예산 소진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늦게 신청하면 혜택을 놓칠 수 있으니 미리미리 준비하셔서 혜택 받아보세요~

  • 7월 시행 전 대상 제품 리스트 미리 확인하기
  • 제품 모델명, 등급 등 사전 스크랩 필수
  • 신청 개시일 당일 구매 및 즉시 신청 준비

 

지금까지 2025년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제도 환급가능품목 및 환급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전 교체를 고민하고 있다면 2025년 7월 이후로 일정을 조정하고, 환급대상 제품 정보를 미리 확인하셔서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 대상 신청방법 지원금액 알아보기

벌써부터 한여름 같은 더위가 시작되었는데요. 전기요금 걱정 없이 에어컨을 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2025년 에너지바우처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올해는 신청조건과 신청방법이 더 간

happy-ssims.tistory.com

 

체육시설이용료 7월부터 소득공제(헬스장,수영장 포함) 가능시설 알아보기

2025년 7월 1일부터 체육시설 이용료에 대한 소득공제 범위가 대폭 확대됩니다. 2025년부터 수영장·헬스장 이용료도 소득공제가 되는데요. 운동하면서 세금도 아낄 수 있는 꿀팁!지금부터 체육시

happy-ssims.tistory.com

 

전기요금 누진세 구간 조회방법 전기요금 절약하는 방법 알아보기

무더운 여름철, 선풍기나 에어컨등 냉방 기기를 사용하다 보니 전기사용량이 많아 경제적으로 비용부담이 부담스러운데요. 지금부터 전기세 누진구간과 전기요금 조회방법, 여름철 전기요금

happy-ssims.tistory.com

 

아파트관리비 아끼는방법 알아보기

고물가시대인 요즘 공과금이 많이 올라서 아파트관리비로만 30~40만 원을 훌쩍 넘기게 되는데요. 지금부터 아파트관리비 아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관리비 아끼는 방법 1. 보통

happy-ssims.tistory.com

반응형